이글루 파인더
메모장
카테고리
전체기록공지 일상잡상 가족일기 몽유잡담 도서잡담 만화잡담 음식잡담 기행잡담 게임잡담 영화잡담 문답설문 낭만잡담 까칠할때 도서좌판(판책+공지) 좌판매물(팔책) 역사 : 통사(?~?) 한국고대(~668) 한국중세(~1392) 한국근대(~1910) 한국현대(~20XX) 한국전쟁연대기(500501~550731) 세계고대(~476) 세계중세(~1453) 세계근세(~1789) 세계근대(~1900) 세계현대(~20XX) 자연사說 한국뉴스 외국뉴스 뉴스비판 봉황의 비상 큰칼짚고일어서서:이순신戰記 내가 히틀러라니!!! 은영전 팬픽 미래뉴스 新 비잔티움 연대기 기타창작 멋진펌글 유머만담 클러스터맵 ☆☆☆☆ ★★★★ ※※※※ 미분류 태그
강제동원
홋카이도
북방물개
독도바다사자
물개
코알라
독도강치
유시민
너구리
생체실험
미국너구리
주한미군
오늘도기자를까자
코로나바이러스
용병
마루타
러쿤
우한폐렴
아우슈비츠
온실가스
일제강점기
스마트그리드
지구온난화
화석연료
731부대
이청천
오늘은취재원을까자
2차세계대전
일제시대
오마이뉴스
라이프로그
![]() 한국전쟁 ![]() 청소년을 위한 파닥파닥 세계사 교과서 ![]()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 기억 ![]() 독소 전쟁사 1941~1945 ![]() 전격전의 전설 |
나무위키를 비롯한 인터넷 각지의 여성징병제 운운 문서들은 이스라엘이 시행하고 있는 여성징병제에 대해서,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여성들이 군대보내달라고 헌법소원을 내서 여자들도 징집되도록 규정되었다." 라고 말이죠. 표현에 좀 차이는 있어도 대개 다 같으니 그러려니 합시다. 그런데 사실 저는 오늘 저 내용을 처음 봤어요. 그런데 이게 보자마자 확 의문이 들더라고요? 왜냐 하면 이스라엘 독립운동 시기부터 여자들이 총 잡는 건 하나도 이상할 게 없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압도적으로 강한 영국군과 아랍군을 상대로 싸우느라 이스라엘군(아직 정식 군대가 아닐 때부터)은 남녀 가리지 않고 받아들였습니다. 독립 이후에는 아예 전면 징병을 실시합니다. 이미 군대에 여성이 다수 있는데 새삼 징병을 요구...? 이상하잖아요? 그래도 징집기준이 매우 널널한 사실상 자원제이던 걸 전면 징병제로 하라고 요구할 수는 있겠다 싶더군요. 보편적인 의무와 권리를 묶어서 요구할 수도 있으니까. 근데 그 "헌법소원"의 시점이 언제인가 궁금해져서 구글링을 해봤는데....이건 뭔? 없습니다. 그냥 "이스라엘 여자들은 헌법소원으로 스스로 군대에 갔다"는 저 이야기는 가득 있는데 그 "헌법소원"이 도대체 어느 단체 누구 명의로 몇 년 몇 월에 제출되었으며 판결이 난 건 언제인지 상세하게 적은 문서는 단 하나도 없어요. 제가 본 것 중에 가장 빠른 문서는 2008년에 작성된 문서부터 이 헌법소원 운운하는 내용이 있었는데, 명확한 시점을 제시한 글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 13일 오전에 한번 더 구글링해 보고 2006년 문서까지 확인함. 개중에는 이스라엘이 독립(1948)도 하지 않은 1942년 5월부터 이스라엘 정부가 여성 징병을 합법화했다고 주장하는 게시판 글도 있더군요. 말이 되나요, 이게? 하여튼 한국어 문서로는 글러먹었다 치고, 가장 확실할 듯한 영어 위키백과로 갔습니다. 그런데 여기도 언급이 없습니다. 이스라엘군 항목이나 Women in the Israel Defense Forces 항목에는 헌법constitution의 c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첨언하자면, 이스라엘에는 아예 성문헌법이 없습니다! 세계법제정보센터 > 중동 >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성문의 단일헌법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11개의 기본법으로 국가조직, 권력구조 및 기본권 등 헌법적 사항을 규율하고 있다. 물론 이 기본법들이 헌법의 역할을 하고 있긴 하지요. 그런데 이중 6번째인 1976년 기본법이 군대 관련 기본법이거든요, 그런데 그 내용에는 여성 징병 관련된 내용이 없습니다-_- 원문 링크 BASIC LAW: THE MILITARY (5736-1976) (Unofficial translation by Dr. Susan Hattis Rolef) Essence 1. The Israel Defense Forces is the army of the State. Subordination to the civilian authorities 2. (a) The army is subject to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b) The Minister in charge of the army on behalf of the Government in the Minister of Defense. The Chief of Staff 3. (a) The supreme command level in the army is the Chief of Staff. (b) The Chief of Staff is subject to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and is subordinate to the Minister of Defense. (c) The Chief of Staff shall be appointed by the Government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ation of the Minister of Defense. Mandatory service and enlistment 4. The duty to serve in the army and to enlist to the army shall be as prescribed by law, or by its force. Instructions and orders in the army 5. The authority to issue binding instructions and orders in the army shall be prescribed by law, or by its force. Other armed forces 6. It is forbidden to form or maintain an armed force other than the Israel Defense Force, save by law. 이게 군 관련 기본법 전붑니다. 정말 "여성단체의 헌법소원"으로 여성 징병제가 시행되었다면 기본법에 관련 구절이 한 마디쯤은 있어야 하지 않습니까? 물론 군 복무의 평등성에 대한 여성계의 요구가 없었던 건 아닙니다. 이스라엘군 항목과 이스라엘군에서의 여성 항목에 공통적으로 적힌 사건이 있더군요. 아마 이 사건이 "헌법소원" 주장의 시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Civilian pilot and aeronautical engineer Alice Miller successfully petitioned the High Court of Justice to take the Israeli Air Force pilot training exams, after being rejected on grounds of gender. Though president Ezer Weizman, a former IAF commander, told Miller that she would be better off staying home and darning socks, the court eventually ruled in 1996 that the IAF could not exclude qualified women from pilot training. Even though Miller would not pass the exams, the ruling was a watershed, opening doors for women in new IDF roles. Female legislators took advantage of the momentum to draft a bill allowing women to volunteer for any position, if they could qualify. 민간 조종사이자 항공 기술자인 앨리스 밀러는 여자라는 이유로 거부당한 이스라엘 공군 조종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해달라고 고등법원에 청원했다...(후략) 아마 이 사건과 그 이후에 있었던 동등한 권리를 요구한 일 등이 하나로 뭉뚱그려지면서 한국 웹에서 "이스라엘 여성계가 병역을 수행하게 해달라는 헌법소원을 했다"는 황당한 주장이 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안보 무임승차론"에 대한 옹호심 역시 기반이 되었겠고요. 하지만 그 실상은 "여자도 능력이 있다면 군 조종사가 될 수 있게 해달라"는 정도였던 겁니다. 일반 병역의무 자체는 이미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요. 하여튼 이 사건이 분수령이 되어, 그 이후로 여성계가 "남자와 같은 역할과 권리"를 맡겠다고 요구한 결과 그동안 여성에게 제한되었던 대부분의 보직에서 여군이 복무하고 있습니다. 위키에 의하면 지금은 이스라엘군에서 88~92%의 보직이 여성에게 열려 있다고 합니다. 원래 의도보다 글이 길어졌는데 하여튼 3줄 요약 - 이스라엘군은 아예 처음 생길 때부터 여군이 있었음. - 여자도 공군기 조종하게 해달라고 재판소에 청원한 적은 있음. - 이스라엘 여성단체가 군대 가게 해달라고 헌법소원 걸고 그런 거 없다. ![]() ![]() ![]() ![]() ![]() ![]() ![]() ![]() ![]() ![]() ![]() ![]() ![]() ![]() ![]() ![]() ![]() ![]() ![]() ![]()
|
메뉴릿
최근 등록된 덧글
인터넷에서 적당히 긁은..by 슈타인호프 at 06/24 책은 처분하고 없지만,.. by 슈타인호프 at 06/22 제가 가지고 있다가 처분.. by 슈타인호프 at 06/22 안녕하세요. 혹시 이호.. by J at 06/10 코모도도마뱀은 독샘을.. by 2022년에왔슴다 at 03/24 이게 대체 뭔 ㅋㅋㅋㅋ .. by ㅇㅇ at 01/04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by 지나가다 at 12/12 대단하시네요 존경합니다. by ㅇㅇ at 12/05 꼬우면 목숨걸고 일본과.. by 235235 at 11/15 다시말하면, 님이 말한.. by ㅇㅇ at 09/13 최근 등록된 트랙백
2018년까지는 여전히 진..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진짜 마지막 빨치산이 ..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굿모닝 티처, 리디북..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이전블로그
2021년 12월2021년 08월 2021년 07월 2021년 04월 2021년 03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6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