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 파인더
메모장
카테고리
전체기록공지 일상잡상 가족일기 몽유잡담 도서잡담 만화잡담 음식잡담 기행잡담 게임잡담 영화잡담 문답설문 낭만잡담 까칠할때 도서좌판(판책+공지) 좌판매물(팔책) 역사 : 통사(?~?) 한국고대(~668) 한국중세(~1392) 한국근대(~1910) 한국현대(~20XX) 한국전쟁연대기(500501~550731) 세계고대(~476) 세계중세(~1453) 세계근세(~1789) 세계근대(~1900) 세계현대(~20XX) 자연사說 한국뉴스 외국뉴스 뉴스비판 봉황의 비상 큰칼짚고일어서서:이순신戰記 내가 히틀러라니!!! 은영전 팬픽 미래뉴스 新 비잔티움 연대기 기타창작 멋진펌글 유머만담 클러스터맵 ☆☆☆☆ ★★★★ ※※※※ 미분류 태그
스마트그리드
마루타
너구리
731부대
북방물개
온실가스
일제강점기
오늘도기자를까자
독도바다사자
강제동원
미국너구리
홋카이도
독도강치
생체실험
물개
화석연료
코알라
2차세계대전
러쿤
아우슈비츠
주한미군
용병
일제시대
오마이뉴스
이청천
지구온난화
유시민
오늘은취재원을까자
코로나바이러스
우한폐렴
라이프로그
![]() 한국전쟁 ![]() 청소년을 위한 파닥파닥 세계사 교과서 ![]()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 기억 ![]() 독소 전쟁사 1941~1945 ![]() 전격전의 전설 |
포항여중 전투 - 71명의 학도병들은 어디서 왔을까.(일부 수정)
날짜를 맞추고픈 조급한 마음에 책이 덜 도착한 상태에서 글을 마무리하고 일단 올렸더니 역시 펑크가 나네요-_-;; <3사단 학도의용군, 남상선, 대한민국재향군인회, 1975>의 내용이 대부분 <한국전쟁시 학도의용군, 군사연구실, 육군본부, 1994>에 인용되어 있어서, 이를 그대로 참고하고 작성해도 별 상관 없으리라고 생각했는데 역시 인용은 원문이 아니었습니다. 대체적인 스토리라인은 문제가 없는데 세부적인 면에서 생략한 부분이 상당히 되는군요. 일단 <3사단 학도의용군>의 원문을 확인하여 새로 작성한 표입니다. ![]() * 생존/작고한 학도병들 중 "포항여중전투 결과" 항목이 "?"로 된 경우는 후송인지 포로가 된 후 탈출한 사람인지 분명하지 않기 때문임. 포로가 되었는지 전투 초기에 후송되었는지 알 수 없던 인원들 중에서 몇 명은 확실히 포로 또는 후송 중 어느 쪽 운명을 거쳤는지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확실하지 않은 인원이 있고, 전장에서 목에 관통상을 입었던 김용섭 중대장도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왔는지 아니면 전장에서 구조되었는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인민군이 3시간만에 포항에서 철수했던 만큼 후자일 가능성도 높다고 보는데, 확실히 적어놓은 부분이 없네요. 한 가지 역설적인 건, 최신자료에서 육군에서 인정한 생존자 4명(박종은, 윤병국, 장진명, 정수득)은 제가 참고한 다른 기록 어디서도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건 무슨 황당한 노릇인지;;; 혹시 70년대, 90년대에는 모르다가 2010년이 되어서 알게 된 거란 말인가요? 그럼 뭐 이건 도무지 할 말을 찾을 수 없는 상황이고 말입니다. 설마 죽은 사람만 띄워주느라 산 사람은 일단 미뤄둔 건 아니겠지-_-;;;; 하여간 위 표를 감안해서 다시 생각하면, 확실한 전사자가 48명(시체를 셀 수 있으니)이라는데는 이견이 없습니다만 생존자의 수는 상당히 복잡해집니다. 앞 포스팅에서 다뤘지만, 육군본부가 발간한 공식 책자에 따른 학도병들의 피해 집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사 - 48 실종 - 4 포로(미귀) - 2 포로(탈출) - 11 부상후송 - 6 헌데 위 표에서 확인한, 확실히 신원이 밝혀진 학도병들의 피해 집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사 - 14 실종 - ? 포로(미귀) - 2 포로(탈출) - 9 부상후송 - 4 경로는 미상이나 일단 생환은 분명 - 5 육본의 공식 출판물을 믿자면 17명은 분명히 살아남았습니다. 따라서 확실한 포로 탈출자 9명, 부상후송자 4명에다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포로 탈출자 2명과 후송자 2명을 더하면 확실히 17명이 되므로, 일단 생존자의 숫자는 대충 맞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최후가 확실치 않은 안영길, 박영환 두 학도병의 경우는 일단 포로가 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니까, 포로가 되었다가 돌아오지 못한 두 사람이 이 두 분이라고 생각하면 여기서는 아귀가 맞지요. 남은 문제는 포항여중전투 참전자인지 여부가 의심스러운 사람 2명을 제하고도 확실히 살아서 돌아온 사람으로 판명된 수는 18명이라는 겁니다. 누군가 1명이 육군본부의 계산보다 더 살아있었고, 이걸 설명하자면 실종자 중 살아서 돌아온 사람이 있다고 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마 이 문제 때문에 전사자의 수가 47명이라는 기록과 48명이라는 기록이 공존한다고 생각이 되는군요. 누군가 기록된 생존자 명단을 확인해 보고, 17명이 아니라 18명이라는 것을 알자 전사자 수를 하나 줄여 균형을 맞추려고 했을 공산은 충분하니 말입니다. 어쨌거나...일단은 이것으로 업데이트를 마칩니다. 괜히 날짜 맞춘다고 서두르다가 기껏 작성한 포스팅을 병신으로 만들어 버렸으니, 조급했던 마음이 후회되는군요. 둘로 나눠서 상하편으로 썼으면 오늘 책 확인한 뒤에 제대로 내용 작성해서 수정 없이 하편 업로드할 수 있었는데 말입니다. 독자분들께 사과드리며 앞으로는 좀 더 느긋하게 살겠습니다 f--;;; 참고자료 : 3사단 학도의용군, 남상선, 대한민국재향군인회, 1975 민족의 증언 vol.2, 중앙일보사, 1983 한국전쟁시 학도의용군, 군사연구실, 육군본부, 1994
|
메뉴릿
최근 등록된 덧글
어이가 없네요... 어떻..by SAGA at 03/01 헐... 대단한 퀄리티.. by SAGA at 03/01 앗 경인왜란 읽는중인데.. by 페퍼 at 02/24 퀄리티 굿... by KittyHawk at 02/23 저거 진짜 놀랐죠 by intherain at 02/22 엄청난 작품이네요. 그.. by asianote at 02/22 와......전 처음엔 .. by 까마귀옹 at 02/22 대체 어떻게 저런 문장이.. by 까마귀옹 at 01/31 외신기사를 구글번역기.. by 도연초 at 01/31 .... 좀 거시기합니다만.. by 漁夫 at 01/31 최근 등록된 트랙백
2018년까지는 여전히 진..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진짜 마지막 빨치산이 ..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굿모닝 티처, 리디북..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이전블로그
2021년 12월2021년 08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6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