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 파인더
메모장
카테고리
전체기록공지 일상잡상 가족일기 몽유잡담 도서잡담 만화잡담 음식잡담 기행잡담 게임잡담 영화잡담 문답설문 낭만잡담 까칠할때 도서좌판(판책+공지) 좌판매물(팔책) 역사 : 통사(?~?) 한국고대(~668) 한국중세(~1392) 한국근대(~1910) 한국현대(~20XX) 한국전쟁연대기(500501~550731) 세계고대(~476) 세계중세(~1453) 세계근세(~1789) 세계근대(~1900) 세계현대(~20XX) 자연사說 한국뉴스 외국뉴스 뉴스비판 봉황의 비상 큰칼짚고일어서서:이순신戰記 내가 히틀러라니!!! 은영전 팬픽 미래뉴스 新 비잔티움 연대기 기타창작 멋진펌글 유머만담 클러스터맵 ☆☆☆☆ ★★★★ ※※※※ 미분류 태그
731부대
미국너구리
2차세계대전
아우슈비츠
코로나바이러스
홋카이도
일제시대
오마이뉴스
코알라
오늘은취재원을까자
우한폐렴
이청천
일제강점기
북방물개
용병
물개
너구리
온실가스
지구온난화
생체실험
오늘도기자를까자
러쿤
유시민
강제동원
화석연료
주한미군
스마트그리드
마루타
독도바다사자
독도강치
라이프로그
![]() 한국전쟁 ![]() 청소년을 위한 파닥파닥 세계사 교과서 ![]()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 기억 ![]() 독소 전쟁사 1941~1945 ![]() 전격전의 전설 |
![]() 모 역사부도 91페이지. 이 페이지는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만들어나가던 시대, 특히 세포이 반란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세포이 반란과 관련된 두 여자에 대해 거론하고 있는데 두 사람 다 여왕이라는 데서 공통점을 찾은 것 같아요. 뭐, 다들 알고 계시겠지만 간단하게 몇 마디만 배경 설명으로 덧붙이자면..... ![]() 기, 기왕이면 젊고 예쁠 때(1843년, 24세) 초상으로.....-_-*(잇힝♡) 사실, 이 여왕마마꼐서는 나이든 뒤에 너무 뚱뚱해지셨....;;;; (사진출처 : http://www.icecastle.org/artwork/images/Queen%20Victoria%20(Winterhalter,%201843)_jpg.jpg) 알렉산드리아 빅토리아(Alexandrina Victoria) 여왕은 하노버 왕가 출신의 마지막 영국 군주이자 63년 7개월이라는 재위기간으로 가장 오래 옥좌에 앉아 있었던 왕이기도 합니다. 지금 엘리자베스2세가 빅토리아 여왕의 시대, 영국은 세계의 최강국으로서 전성기를 구가했습니다.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초강대국이었고 이는 제가 예전에 포스팅했던 스피트헤드에서의 관함식 장면으로 대표되기도 하지요. 뿐만 아니라 여왕폐하는 자식복도 많아서 9명의 자녀와 42명의 손자녀를 두었고, 이들을 전 유럽의 왕실과 명문가에 출가시켜 "유럽의 할머니"라는 호칭을 얻었습니다. 심지어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조차 빅토리아 여왕을 "큰어머니"라고 부르며 존경했을 정도였죠. 게다가 자기 자손들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보지 않고 죽는 복까지. 그런데 빅토리아 여왕이 이렇게 위세를 떨치고 있을때, 이 교과서에 거론된 상대 여왕은....;;; ![]() "잔시의 여왕" 라크슈미 바이(Rani Lakshmibai, 1835~1858). 라크슈미 바이는 인도의 잔시(Jhansi) 지방을 다스리는 토후국 왕의 아내(라자Raja는 남자 토후, 라니Rani는 여자 토후를 가리킵니다)였습니다. 그런데 남편인 왕이 1853년 11월 21일에 사망하자, 그녀는 혼자 남게 되었습니다. 그녀가 1851년에 낳은 유일한 아들은 생후 4개월만에 죽어버렸고, 남편도 계승자를 잃은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시름시름 앓다가 죽었거든요. 이에 기회를 잡은 영국인들은 직계의 후계자가 없다는 구실로 그녀의 영토를 몰수해버렸고, 18세의 그녀는 자신의 왕국에서 축출되었습니다. ![]() 잔시의 위치 당시 인도를 다스리는 영국 동인도회사의 총독, 달후지 경(Lord Dalhousie, 재임 1848~1856)의 정책은 가능한 많은 영토를 직할령으로 확보하여 징세수입을 올리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핑계만 생기면 무력으로든, 모략으로든 토후국의 지배자들을 쫓아내고 그 영토를 병합했지요. 상속자가 없다는 핑계로 영토가 몰수된 토후국은 잔시 외에도 사타라, 나그풀 등이 있었습니다. 그외에 아우드 같은 경우 "너무 지나치게 방탕하다"는 구실로 군주 와지드 알리를 축출하고 직할령으로 만들어버렸죠. 동인도회사 측은 라크슈미 바이에서 단 6만 루피의 보상금으로 모든 것을 포기하고 궁전에서 퇴거하라고 명령했습니다. 이는 그녀의 입장에서는 말도 안 되는 일이었고, 격렬하게 항의했지만 동인도회사는 들은 척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라크슈미 바이는 결국 적의 무기를 사용하기로 하죠. 뭐냐고요? 영국인 변호사를 고용했습니다(...) 이 무기가 효과가 있었는지, 그녀는 약간의 연금을 얻어냈고 자기 궁전에서의 거주권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세포이의 난이 발발하게 되지요. 잔시를 지배하던 영국인들은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주둔하고 있던 군대를 빼냈고, 라크슈미 바이는 4년만에 자기 영토를 다시 다스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다시 지배권을 확보했다...고 해서 곧바로 영국과 전쟁을 시작하거나 하지는 않았어요. 라크슈미 바이는 자기 영토에서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우선으로 생각했고, 인도 중북부 일대가 전쟁으로 혼돈 속에 빠져 있는 동안에도 개입하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그녀가 통치력을 발휘한 덕분에 잔시는 평화를 누릴 수 있었고, 주변 지역의 영국인들이 잔시의 요새로 피난을 올 정도였어요. 그런데 이때 문제가 터집니다. 반란군은 잔시에서 보호받고 있는 영국인들에게 안전통과를 약속해서 성 밖으로 끌어낸 다음 모조리 죽여버렸고, 영국인들은 라크슈미 바이에게도 책임의 일단이 있다 하여 강력하게 비난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변명 따위는 무시해버리고 다른 지역의 반란이 어느 정도 진정되자 잔시 점령을 위한 진압군을 파견하죠-_-;; 영국군이 눈앞에 나타날 때까지만 해도 라크슈미 바이는 반란에 동참하는 것을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858년 3월, 막상 적군이 그녀의 나라를 침략하기 시작하자 그녀의 망설임도 끝나고 최선을 다해 맞서 싸우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성 안에 갇힌 그녀를 구출하려는 외부의 시도는 모조리 실패하고, 결국 라크슈미 바이는 성을 버리고 탈출합니다. 그리고 영국인에 맞서 싸우다 1858년 6월 11일에 전사하게 되죠. 즉 그녀의 항전은 반란 전 기간에 걸친 것이 아니라 단 3개월 정도였습니다. 이것도 상식에 어긋나는 내용인데, 책에 넣었으면 좋았을 뻔 했네요. 쳇, 아쉬워. 왜 그때는 더 사소한 것만 살폈을까. 이후 영국은 인도 통치에 있어서 토후국을 병탄의 대상이 아니라 착취의 동반자로 간주하게 됩니다. 군주들을 쫓아내는 정책은 그들의 반감만을 불러온다는 것을 깨달았고, 세포이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아직 영토를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토후들은 영국 편에 섰거든요. 라크슈미 바이만 해도 영국군이 공격해오기 전까지는 반란군 편에 서지 않았습니다. 또한 반란을 일으킨 벵골 군관구의 세포이들 중 많은 숫자가 바로 전해에 병합당한 아우드 왕국 출신이었죠. 이들은 자신들의 왕을 본래 지위로 복위시켜야만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의 이런 경험을 하고 나자 영국인들은 남아있는 토후국에 대해서는 병합정책을 포기합니다. 아직 인도 전체 면적의 40% 가량을 점하고 있던 토후국의 군주들은 이제 영국에게 영토를 빼앗길 염려는 안 해도 되었지만, 한층 더 철저한 허수아비가 되어 갔죠. 통치에 대한 모든 실권은 영국인 관리들이 쥐었으며, 군주들은 지배권 유지를 위해 식민권력에 철저히 협조했습니다. 옛날에 포스팅한 세포이의 난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에서 잠깐 언급한 것처럼, 2차 세계대전 당시 인도가 영국에 제공한 병사들 중 상당수가 이들 토후령에서 나온 것이었죠. 아아, 이런 이야기까지 다 할걸 괜히 책에는 빼고 안 넣었네, 쳇쳇. 지금 넣는 건 무리겠지 F--;; 하여튼 이제 서론(?)은 끝내고, 이제부터 교과서가 잘못된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 "짧게" 말해 볼까요? 1. 위치오류 맨 앞 그림을 다시 보시면 아시겠지만, 영국 여왕인 빅토리아 여왕의 이름 밑에 여왕이 아닌 "락슈미 왕비"에 대한 설명이 들어가 있습니다. 당황스런 일이죠. 뭐 사실 왼쪽에 들어간다고 문제될 건 없지만 그러려면 초상화 오른쪽에 있는 "락슈미 마야"라는 인명 표시도 왼쪽으로 가야 하지 않을까요. 2. 인명오류 네, 보시다시피 "잔시의 왕비"를 교과서에서는 "락슈미 마야"라고 적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녀의 이름 뒷부분은 "마야"가 아니고 "바이"입니다. 남의 이름을 함부로 바꾸면 안 되죠. 그죠? 참고로, 결혼 전 처녀때 이름은 마니카르니카(Manikarnika). 참고자료 : 제3세계 문화총서 vol.4 - 인도의 독립운동, 네루 외, 태창문화사, 1979 제국, 닐 퍼거슨, 민음사, 2006 위키피디아(영) - Rani Lakshmibai ![]() ![]() ![]()
|
메뉴릿
최근 등록된 덧글
어이가 없네요... 어떻..by SAGA at 03/01 헐... 대단한 퀄리티.. by SAGA at 03/01 앗 경인왜란 읽는중인데.. by 페퍼 at 02/24 퀄리티 굿... by KittyHawk at 02/23 저거 진짜 놀랐죠 by intherain at 02/22 엄청난 작품이네요. 그.. by asianote at 02/22 와......전 처음엔 .. by 까마귀옹 at 02/22 대체 어떻게 저런 문장이.. by 까마귀옹 at 01/31 외신기사를 구글번역기.. by 도연초 at 01/31 .... 좀 거시기합니다만.. by 漁夫 at 01/31 최근 등록된 트랙백
2018년까지는 여전히 진..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진짜 마지막 빨치산이 ..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굿모닝 티처, 리디북..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이전블로그
2021년 12월2021년 08월 2021년 02월 2021년 01월 2020년 12월 2020년 10월 2020년 09월 2020년 08월 2020년 06월 2020년 04월 2020년 03월 2020년 01월 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