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 파인더
메모장
카테고리
전체기록공지 일상잡상 가족일기 몽유잡담 도서잡담 만화잡담 음식잡담 기행잡담 게임잡담 영화잡담 문답설문 낭만잡담 까칠할때 도서좌판(판책+공지) 좌판매물(팔책) 역사 : 통사(?~?) 한국고대(~668) 한국중세(~1392) 한국근대(~1910) 한국현대(~20XX) 한국전쟁연대기(500501~550731) 세계고대(~476) 세계중세(~1453) 세계근세(~1789) 세계근대(~1900) 세계현대(~20XX) 자연사說 한국뉴스 외국뉴스 뉴스비판 봉황의 비상 큰칼짚고일어서서:이순신戰記 내가 히틀러라니!!! 은영전 팬픽 미래뉴스 新 비잔티움 연대기 기타창작 멋진펌글 유머만담 클러스터맵 ☆☆☆☆ ★★★★ ※※※※ 미분류 태그
시스쿠아
스페인내전
스페인
지구온난화
일제강점기
인신공양
한국전쟁
장사리
홋카이도
장사상륙작전
대함미사일
강제동원
주한미군
일제시대
마피아
만주국
관동주
이태그는사라질날이없어
유시민
오마이뉴스
오늘도기자를까자
전쟁영화
스마트그리드
온실가스
프랑코
용병
오늘은취재원을까자
일제
만주
화석연료
라이프로그
![]() 한국전쟁 ![]() 청소년을 위한 파닥파닥 세계사 교과서 ![]()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 기억 ![]() 독소 전쟁사 1941~1945 ![]() 전격전의 전설 |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역시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말이 절로 나오네요.
작중에서의 키케로에 대한 묘사는 저로서는 뭐라고 평하기가 힘듭니다. 이미 좋게 평해주신 분들이 너무 많아서, 내용에 대한 리뷰를 하는 것은 헛수고만 보탤 것 같네요. 그보다는 제가 잘 할 수 있는.... 번역오류 꼬투리 잡기를 시작하겠습니다(먼산). 뭐, 전체적으로는 번역에 문제가 될 만한 부분은 없었습니다. 그저 제가 늘 그렇듯 콩알만한 것만 골라내는 거죠, 네 :) 첫째, 번역과정에서의 한국어 어휘 오류. 100p - 복잡한 정치과정을 합종연"행"이라고 적으셨더군요. 합종연"횡"입니다. 216p - "부자비한" 재판장에 대해 적으셨군요. 자비롭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 한국어에서는 "부자비"라고 표기하지 않습니다. "무자비"하다고 쓰지요. ....이건 자판에서 'ㅁ'과 'ㅂ'이 바로 근처에 붙어 있다 보니 단순 오타로 봐야 할지 오류로 봐야 할지 좀 헷갈리긴 하는군요. 후자라면 편집진 및 교정자에게도 역시 책임이 돌아갈 듯. 246p - 코뿔소(rhinoceros)는 줄여서 쓰면 "무소"입니다. 언제부터 "무쏘"라고 쓰게 되었는지....이건 자동차 이름이죠, 네 -_-;; 이것도 실수로 시프트를 눌러서 나온 오타? 그리고 보통 "해방노예"로 번역되던 단어를 "자유노예"로 적으셨더군요. 이건 엄밀히 말하면 오류라고는 할 수 없지만, 뭔지 모를 거부감이 좀 느껴지더라고요. 둘째, 라틴어 식 표기와 영어 식 표기 중 하나로 제대로 택일해 주세요. 여러분 모두 아시다시피 이 책은 기원전, 공화정 말기의 고대 로마를 무대로 합니다. 따라서 등장인물 및 지명은 모두 당시의 언어인 라틴어나 그리스어로 서로를 부르고 대화를 나누었겠지만 이 소설의 작자는 현대 영국인이며, 당연히 현대 영어로 이 작품을 썼습니다. 문제는 이걸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영어 표기를 그대로 옮긴 것도 아니고 라틴어 표기를 제대로 옮긴 것도 아닌 이상한 표기가 여러 곳에서 나왔다는 점입니다. 일단 번역자가 의도한 것은 라틴어 식으로 표기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됩니다. "골Gaul"을 죽어라 "가울"이라고 적고 있는 것(그런데 저는 "골"이 맞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_-??)이나, 스페인의 도시 발렌시아Valencia를 "발렌키아(214p)"라고 적고 있는 걸 봐도 티가 나요. 소아시아의 타우루스 산맥도 영어식의 "토러스"가 아닌 라틴어 발음으로 제대로 적고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이런 일관성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는 점입니다. 스페인을 히스파니아로 적지 않은 것이야 히스파니아가 어디인지 모르는 독자를 위해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 원서에도 스페인이라고 적혀 있었을 거고, 솔직히 번역자가 스페인이 라틴어로는 뭐인지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다는 게 더 정확하겠지만 말이죠(웃음). 그래도 스페인 정도는 그냥 넘어갈 수 있습니다. 독자를 위해 그럴 수 있으니까요. 그래도 저같은 종자의 시각에서는 기왕 라틴어 식으로 적자고 마음먹었으면 "히스파니아(스페인)" 정도로 타협해 주었으면 더 좋겠지만요. 문제는 히스파니아보다 웃긴 몇 가지 사례입니다. 이 번역본, 시칠리아의 수도인 시라쿠사Siracusa를 시라쿠세라고 적었더군요. 시라쿠세가 어디서 나왔겠습니까? 바로 시라쿠사의 영어식 표기가 시러큐스Syracuse 입니다. 저걸 라틴어 분위기 낸답시고 "라틴어 식으로 읽은" 겁니다-_-;;; 헤르메스 신에 대한 부분도 있군요. 헤르메스는 로마 신화에서는 메르쿠리우스Mercurius라고 부르는데, 영어에서는 라틴어 식 표현이 변화된 머큐리Mercury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헤르메스를 "메르쿠리"라고 적고 있습니다(먼산). 셋째, 지나친 직역 - 몇 군데 보였습니다. 문장보다는 단어 쪽에서 눈에 띄더군요. 1) 폼페이우스 대제 : 이 부분의 "대제"를 가리키는 원어는 "the Great(라틴어로는 Magnus)"일 겁니다. 이건 알렉산더 대왕(알렉산더 더 그레이트)이나 카롤루스 대제(영어로 굳이 부르자면 찰스 더 그레이트지만, 그냥 프랑스식의 샤를마뉴라고 부르죠 보통. 라틴어로는 카롤루스 마그누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붙는 단어죠. 그 대상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칭송하기 위해 "위대한 이"의 뜻으로 great를 붙이는 겁니다. 그런데 폼페이우스는 Great라는 칭호가 붙더라도 "대제"로 불릴 수가 없습니다. 왜냐고요? 간단해요. 폼페이우스는 왕이나 황제가 아니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위대한 폼페이우스" 또는 "대(大) 폼페이우스" 등으로 보통 번역합니다. 폼페이우스가 왕이나 황제였다면 대왕이나 대제로 불려도 괜찮지만, 아니었거든요. 2) coin = 동전? : 폼페이우스가 스페인에서 개선하는 부분에 대한 묘사입니다. "금은, 동전을 수레에 가득 싣고...." 라고 했는데, 개선행진에서 동전을 싣고 온다는 건 말이 안 되지요. 청동상이라면 몰라도... 아마 해당 부분의 원문은 "coin"일 겁니다. 헌데 요즘 우리가 쓰는 coin이 동전 뿐이라 coin 하면 무조건 동전으로 인식하지만 원래 이 단어는 동전만이 아닌 "주화"를 의미하죠. 즉, coin은 금속으로 만든 모든 종류의 화폐에 대한 총칭입니다. 금화나 은화도 모두 코인이에요. 즉 저 문장을 매끄럽게 번역하자면 "금화와 은화를 수레에 가득 싣고" 정도로 할 수 있겠지요. 아, 그리고 결정적인 거 하나 있어요. 제 예전 포스팅(요거) 기억하시나 모르겠는데..... .........이 번역가 양반도 로마 시대에 옥수수가 있었다고 번역했습니다. ㅋㅋㅋㅋㅋ 웃어야죠?^^ 일단은 열 번째 두루마리까지만 읽은 상태에서 포스팅합니다. 사실 이 책에 다른 불만은 없어요. 매끄럽게 잘 읽히고, 책 자체도 분명히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저야 늘 그렇듯 이런저런 자잘한 꼬투리 붙잡고 늘어지기를 좋아하는지라...게다가 남은 열 개의 두루마리를 모두 읽더라도 더 이상의 오류는 나올 것 같지 않아 그냥 지금 정리된 것만 올립니다(혹 더 찾으면 뒤에 더 붙이지요 ㅋ). 어차피 까려고 읽는 것도 아니고 읽다가 우연히 찾은 것만 나날의 포스팅을 위해 모았으니까요 ㅎㅎ 사실 이 정도 책이면 번역된 것만도 감사해야 합니다만, 2%가 아닌 1%라도 아쉬운 점은 있었기에 그 점에 대해서만 살짝 한 마디 하고파서 작성했습니다. 그럼 이만 11번째 두루마리를 읽으러 갑니다~~^^/ ![]() ![]() ![]() ![]() ![]() ![]() ![]() ![]() ![]()
|
메뉴릿
최근 등록된 덧글
그런 논지였다 해도 현재..by 슈타인호프 at 12/03 이쯤 되면 '훗카이도'라는.. by minci at 12/02 가격은 둘째고 생산량이.. by 無碍子 at 12/02 당장 실현되기에는 무.. by 산마로 at 12/02 그냥 한국 정부가 몽골에.. by 나인테일 at 12/02 컨셉 자체는 굉장히 오래.. by 함월 at 12/02 환경에 해로운 몽골 전기.. by 파파라치 at 12/02 추가자료 확인 결과, 일.. by 슈타인호프 at 12/02 역시 인턴... by 담배피는남자 at 12/01 우리의 환경 파괴를 몽골.. by 산마로 at 12/01 최근 등록된 트랙백
2018년까지는 여전히 진..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진짜 마지막 빨치산이 ..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굿모닝 티처, 리디북.. by 슈타인호프의 함께 꿈꾸.. 이전블로그
2020년 07월2019년 12월 2019년 11월 2019년 10월 2019년 09월 2019년 08월 2019년 07월 2019년 06월 2019년 05월 2019년 04월 2019년 03월 2019년 02월 2019년 01월 2018년 12월 2018년 11월 2018년 10월 2018년 09월 2018년 07월 2018년 06월 2018년 05월 more... |